일본연구소
연 구 사 업
학 술 행 사
출 판
일본학연구
교 류 활 동
커 뮤 니 티
일본학연구, Vol.73 (2024)
pp.31~58
DOI : 10.18841/2024.73.02
- 1761년 조선 사신단의 청 문묘제도(文廟制度) 이해 -
본고는 1761년에 북경을 방문한 조선 사신단이 청나라의 문묘제도를 이해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홍계희를 대표로 하는 조선 사신단은 1761년 1월 8일에 북경의 태학을 방문하였다. 조선 사신단이 문묘제도를 이해하는 방식은 주나라와 명나라의 제도를 중시하고, 청나라의 제도를 비판하였다. 홍계희는 태학에 남아있는 석고를 주나라 문물로 이해하고 매우 귀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명나라는 방어시설을 정비하여 국방을 튼튼히 하였으나 청나라는 명나라가 건설한 성벽조차 온전히 보수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그는 청나라의 역대제왕묘에서 명나라 신종 황제의 위패를 뺀 것을 비판하였다. 당시 조선에서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구원해 준 신종의 공덕을 기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홍계희는 청나라의 문묘에서 송나라 6현(주돈이, 정호, 정이, 소옹, 장재, 주희)에 대한 예우가 소홀한 것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조선에서는 6현의 위패를 대성전의 종향위로 올려서 제사를 지냈으나, 청나라는 주희만 종향위로 올리고 나머지 5현은 여전히 동무와 서무의 종사위에 두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 학계는 송학을 정학으로 여겼고, 청은 송학과 함께 한학을 중시한 결과였다. 조선의 문묘제도는 송나라와 원나라의 제도를 따랐으며 명나라와 청나라 때의 변화는 전혀 수용하지 않았다. 1761년에 북경을 방문한 조선 사신단은 조선의 문묘제도를 기준으로 청의 문묘제도를 비판하였다. 조선과 청은 공자를 최고의 스승으로 모시는 유교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자국의 특징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문묘제도를 운영하였다.
Understanding of the Qing Dynasty’s Munmyo System in 1761 by the Joseon envoys
This paper reviewed the way the Joseon envoys who visited Beijing in 1761 understood the Qing Dynasty’s Munmyo system. On January 8, 1761, the Joseon envoys, representing Hong Gye-hee(洪啓禧), visited Taihak(太學) in Beijing. The way the Joseon envoys understood the Munmyo system emphasized the systems of the Zhou and Ming dynasties and criticized the system of the Qing Dynasty. Hong Gye-hee understood the stone drums(石鼓) remaining in Taihak as the culture of the Zhou Dynasty and considered them very precious. In addition, he praised the Ming Dynasty for strengthening the defense by overhauling defense facilities, and criticized the Qing Dynasty for not fully repairing even the walls built by the Ming Dynasty. He also criticized the exclusion of the plaque of Shinjong,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from the Royal Ancestral Temple of the Qing Dynasty. At that time, Joseon was honoring the meritorious deeds of Shinjong, who saved Jose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ng Gye-hee strongly criticized the neglect of the courtesy of the six Confucian scholars of the Song Dynasty(Ju-doni, Jeong-ho, Jeong-i, So-ong, Jang-jae, and Ju-hee) at the Munmyo Shrine of the Qing Dynasty. In Joseon, the six Confucian scholars’ plaques were raised to the Daeseongjeon Hall for rituals, but in the Qing Dynasty, only Ju-hee’s was raised to the Daeseongjeon Hall, and the other five scholars’ plaques were still placed in Dongmu(東廡) and Seomu(西廡). At that time, scholars in Joseon regarded Songhak(宋學) as an orthodox study, and scholars in the Qing Dynasty emphasized Hanhak(漢學) along with Songhak. Joseon’s Munmyo system followed the systems of the Song and Yuan dynasties and did not accept any changes in the system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Joseon envoys who visited Beijing in 1761 criticized the Qing Dynasty’s Munmyo system based on the Joseon Dynasty’s Munmyo system. Joseon and Qing had a common point as Confucian countries that served Confucius(孔子) as the best teacher, but two countries operated Munmyo system in a way that emphasized their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