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학연구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ankook University

pISSN: 1598-737X / eISSN: 2465-8448

일본학연구, Vol.73 (2024)
pp.59~91

DOI : 10.18841/2024.73.03

- 동아시아 서적교류 현존자료의 사례와 유형 ― 일본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 조선간본과 조선본 간행자료 ― -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고문헌관리학 전공)

이 연구는 현재 일본에 남아있는 한국 고문헌 중에 서적교류사적 의미가 있고 연구가치가 있는 실물 자료를 중심으로 현황과 특징이 드러나는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여러 소장처 중에 한 사례로 일본 와세다대학(早稲田大學)도서관 소장의 482종 2,686책의 한국고서를 대상으로 서지적 분석을 진행하여 그 주제와 판본별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다. 조사된 서지기술 내용을 토대로 분석해본 결과 주제별로는 별집류를 제외하고 사부의 전기류, 정법류, 잡사류 등이 비교적 많은 편이고 판본별로는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이 다수를 차지한다. 실물로 남은 서적에 대하여 현전하는 자료를 사례별로 살펴보았는데, 조선전기의 자료, 조선본을 바탕으로 간행한 일본서, 장서인과 내사본 등은 서적교류사를 비롯한 출판문화사 영역에서도 의미있는 자료로 연구가치가 높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6종의 조선전기 금속활자 인쇄본과 그 전래과정이 확인되었고 내사본이나 장서인은 와세다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한국고서의 전래경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가운데 중요 전적에 대한 개별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국내외 다른 판본과의 관련성에 대한 별도의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Examples and Types of Existing East Asian Book Exchange Materials ─ Korean old book and publications in the collection of Waseda University Library, Japan ─

Ok, Young Jung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books and manuscripts in Japan, focusing on physical materials that have historical significance for book exchange and research value. As an example of one of the many collections, a bibliograph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686 Korean old books of 482 types in the library of Waseda University, Japan, to identify themes and types of editions. Based on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except for the separate collections, there are relatively more biographies of masters, canon law, and miscellaneous books, and woodblock and metal type are the majority in terms of editions. The existing materials were examined case by case, and the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Japanese books published based on Joseon texts, manuscripts and internal manuscripts, etc. have high research value as meaningful materials in the field of book exchange history and publishing culture history. Six types of Joseon Dynasty metal type printed books published before the Imjin War were identified and the process of their transmission, and internal manuscripts and manuscripts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e transmission of Korean manuscripts held in the Waseda University Library.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ividual and intensive research on these important texts, and separate research on their relevance to other editions at home and abroad.

다운로드 목록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