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학연구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ankook University

pISSN: 1598-737X / eISSN: 2465-8448

일본학연구, Vol.66 (2022)
pp.33~50

DOI : 10.18841/2022.66.02

- 온택트 시대 동양사학 데이터베이스 활용 현황 -

홍성민

(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사연구소 초빙연구위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대학교의 연구 환경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대면과 접촉을 제한하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동양사학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고, 이용 시의 주의점을 지적하며, 향후 활용에 대해 전망을 하고자 한다.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그 종류에 따라 논문 검색 데이터베이스, 한적(漢籍) 데이터베이스, 묘지명 데이터베이스, 이체자 데이터베이스, 북방민족 언어 관련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된다. 또 기관의 구독 유무에 따라 공개 데이터베이스와 구독용 데이터베이스로도 구분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때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 첫째 논문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 누락의 문제, 둘째 한적 데이터베이스의 판본수록 문제, 셋째 데이터베이스 입력 작업 시의 한자 판독문제가 있다. 2021년 현재, 우리는 온택트 시대를 현재진행형으로 경험하고 있지만, 훗날 장기적인 시야에서 이 시기를 보았을 때 온라인 인문학이 활성화・본격화되는 기점으로 인식될 것이다.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Databases for Asian History in the Contactless Period

Hong Sungmin 1

The pandemic caused by the COVID-19 virus is also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earch environment of universities. In order to overcome the recent restrictions on face-to-face contact, this article introduces the databases related to Asian history, points out precautions for its use, and provides prospects for future use. These databases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article databases, Chinese source databases, Chinese epitaph databases, Chinese heterogeneous character databases, and Mongolian and written Manchu dictionary databases. In addition, it can also be divided into public databases and subscriptional databases. The following precautions are required when using these databases. The first is the problem of omission of articles in academic article databases, the second is the problem of book editions in the databases, and the third is the problem of deciphering Chinese characters when inputting the databases. As of 2021, we are experiencing the contactless period, but in the futur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period will be recognized as the turning point for online humanities.

다운로드 목록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