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학연구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ankook University

pISSN: 1598-737X / eISSN: 2465-8448

일본학연구, Vol.71 (2024)
pp.169~190

DOI : 10.18841/2024.71.07

- 최정희의 『정적기』 재게재에 나타난 주체성의 변형 ― 『삼천리문학』판과 『문화조선』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

유지혜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최정희는 식민지 시기에서 해방 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작품 활동을 한 한국의 대표 여성작가이다. 작가는 1938년 『정적기』에 자신의 경험을 투영시켜 가부장제의 구속에 매여있는 여성의 삶을 자학이라는 고난을 통해서 풀어내었다. 본고는 『정적기』가 1938년 『삼천리문학』에 게재된 이후 3년 4개월이 지나서 『문화조선』에 일본어판 텍스트가 재게재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일본어판은 대체적으로 결말 부분을 제외하고 한글 원본과 기본 서사가 크게 다르지 않으며 텍스트 속 다수의 문장들이 문장 구조 그대로 한글에서 일본어로 바뀌었기에 번역서의 인상이 강하다. 따라서 일본어판 텍스트를 다룬 선행 연구는 한글판에 비해 매우 드물다. 그러나 일본어판을 단순히 번역서 차원에서 접근하기에는 게재 잡지의 성격와 발표 당시 시대적 특성과의 연계성을 생각해봤을 때 여류문학에서 친일작품으로 전환되는 경계점에서의 내적 논리를 내포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두 이본을 함께 비교 분석하여 기존의 비평 및 연구 흐름을 재검토하고 한발 더 나아가 표면화되지 않았던 총력전 체제로의 내면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e transformation of subjectivity in Choi Jung-hee’s “Silence story” republished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amcheonri Literature” and “Culture Chosun” editions ─

YOO JI HYE

Choi Jeong-hee is a representative Korean female artist who worked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modern era after liberation. In 1938, the artist projected his experiences in “The Silence story” and solved the life of a woman bound by the patriarchy through the hardships of self-study. This paper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Japanese version of text was republished in “Culture Chosun” three years and four months after “Silence story” was published in “Samcheonri Literature” in 1938. The Japanese version generally has a strong impression of the translation because the basic narrative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Korean version, except for the ending part, and many sentences in the text have been changed from Korean to Japanese as they are. Therefore, prior studies dealing with Japanese texts are very rare compared to Korean versions. However,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nature of the published magaz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t the time of the presentation, it may contain internal logic at the boundary of transitioning from female literature to pro-Japanese work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two cop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gether to review the existing criticism and research flow and go one step further to examine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an all-out war system that was not surfaced.

다운로드 목록으로 바로가기